HOME
home
CV News
home

기획 방법론 - 03. 요구사항 수집 및 정의

DEV 속성
Project Manage
날짜

요구사항 수집 및 정의

1.
요구사항 수집
사용자 인터뷰: 타겟 사용자나 스테이크홀더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필요와 기대를 파악합니다.
설문조사: 다양한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나 의견을 수집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포커스 그룹: 특정 주제나 기능에 대한 깊은 토론을 위해 소규모의 사용자 그룹을 모아 진행합니다.
경쟁사 제품 분석: 경쟁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분석하여 그들이 제공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반응을 파악합니다.
스테이크홀더와의 상의: 개발팀, 마케팅팀, 영업팀 등 다른 부서의 의견을 수집하여 전체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합니다.
2.
요구사항 분류
기능적 요구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제품이나 서비스가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기능이나 서비스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회원 가입 시 이메일 인증을 받아야 한다"와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비기능적 요구사항 (Non-Functional Requirements): 시스템의 성능, 보안, 사용성, 확장성 등의 특성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은 동시에 10,000명의 사용자를 지원해야 한다"와 같은 내용이 됩니다.
3.
요구사항 문서화
수집된 요구사항을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서화합니다. 이 문서는 프로젝트의 참여자 모두에게 공유되며, 개발과 테스팅의 기준이 됩니다.
요구사항 명세서 (Requirement Specification)나 사용자 스토리 (User Stories) 등의 형태로 작성될 수 있습니다.
4.
우선순위 결정
리소스와 시간, 비용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모든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요구사항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중요한 기능부터 개발하게 됩니다.
우선순위 결정에는 MoSCoW 방법론 (Must have, Should have, Could have, Won't have)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검토 및 확인
요구사항 문서는 관련 스테이크홀더들과 함께 검토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누락된 요구사항이나 모호한 내용을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 수집 및 정의 단계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과 사용자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꼼꼼한 분석과 체계적인 문서화가 필요합니다.